지속적 신대체요법(CRRT) 알기 쉽게 정리
1. 신대체요법이란?
우리 몸의 '신장(콩팥)' 은 혈액 속의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걸러내고, 전해질 균형과 산-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하지만 '급성 신부전(급성 신손상, AKI)' 이 생기면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혈액 속에 노폐물과 수분이 쌓이게 되고,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이때 신장 대신 혈액을 정화해주는 치료가 바로 '신대체요법(Renal Replacement Therapy, RRT)' 입니다.
대표적인 신대체요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.
- 혈액투석(HD, Hemodialysis)
- 복막투석(PD, Peritoneal Dialysis)
- 지속적 신대체요법(CRRT,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)
즉, CRRT는 신장이 갑자기 망가진 환자를 위해 24시간 내내 지속적으로 혈액을 정화하는 치료법입니다.
2. 지속적 신대체요법(CRRT)의 정의
CRRT는 “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되는, 혈액 속 노폐물·수분·전해질을 서서히, 그리고 안정적으로 제거하는 치료법” 입니다.
일반 혈액투석이 주 2~3회, 4시간 정도로 단시간에 혈액을 빠르게 정화하는 데 비해,
CRRT는 하루 24시간 내내, 또는 하루 중 장시간에 걸쳐 천천히 정화가 이루어집니다.
그렇기 때문에 몸 상태가 불안정한 중환자에게 더 적합합니다.
3. CRRT가 필요한 경우
CRRT는 모든 신부전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고, 특히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게 주로 사용됩니다.
대표적인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급성 신부전(AKI) 환자
- 소변이 거의 나오지 않고, 노폐물(요소, 크레아티닌 등)이 급격히 쌓이는 경우
- 혈액 속 칼륨이 위험할 정도로 높아지는 경우(고칼륨혈증)
-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
-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은 혈압이 매우 낮거나, 승압제를 맞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일반 혈액투석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수분을 제거하면 혈압이 더 떨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.
- CRRT는 수분과 노폐물을 천천히 제거하기 때문에 혈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.
- 중증 패혈증, 다발성 장기부전 환자
- 패혈증으로 인해 염증물질(사이토카인)이 많이 쌓일 때, CRRT가 일부 염증물질 제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- 뇌압 상승 환자
- 뇌손상이나 뇌출혈 환자의 경우, 급격한 체액 변화가 뇌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CRRT는 이런 위험을 줄여줍니다.
4. CRRT의 방식
CRRT는 혈액을 몸 밖으로 뽑아내어 특수한 기계를 통해 투석액·여과막을 이용해 정화하고, 다시 몸속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입니다.
여기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.
- CVVH (지속적 정정혈액여과법)
- 주로 수분 제거와 용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.
- 혈액 속 노폐물을 여과막을 통해 걸러내는 원리입니다.
- CVVHD (지속적 정정혈액투석법)
- 확산(diffusion) 원리를 이용해 혈액 속 작은 분자를 잘 제거합니다.
- 요소, 크레아티닌 같은 노폐물 제거에 탁월합니다.
- CVVHDF (지속적 정정혈액여과투석법)
- 위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한 형태로, 노폐물 제거 + 수분 제거 모두에 효과적입니다.
-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됩니다.
5. CRRT와 일반 혈액투석의 차이
치료 시간 | 24시간 지속 | 주 2~3회, 4시간 정도 |
적용 대상 | 중환자, 혈압 불안정 환자 | 비교적 안정적인 환자 |
수분 제거 속도 | 매우 천천히, 안정적 | 빠르게 제거, 혈압 저하 위험 |
노폐물 제거 | 서서히 제거 |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제거 |
장소 | 주로 중환자실 | 투석실, 외래 |
장점 | 혈압 안정, 뇌압 변화 적음 | 빠르고 효율적 |
단점 | 비용과 인력 소모 큼 | 급성 중환자 적용 어려움 |
즉, CRRT는 안정성, 일반 혈액투석은 효율성에 중점을 둔 치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.
6. CRRT 시 주의해야 할 점
CRRT는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치료이지만,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합니다.
- 항응고제 사용
- 혈액이 기계 안에서 굳지 않도록 항응고제를 사용합니다.
-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는 항응고제 사용을 조절해야 합니다.
- 전해질·영양 상태 관리
- 나트륨, 칼륨, 칼슘 같은 전해질이 치료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.
- 단백질이나 수용성 비타민이 손실될 수 있어 영양 관리도 중요합니다.
- 감염 위험
- 혈관을 통해 기계와 연결하기 때문에 도관(카테터)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.
- 고비용·고인력
- 기계 장비와 소모품 비용이 높고, 숙련된 의료진이 상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.
7. 환자와 가족이 이해해야 할 부분
- CRRT는 신장이 회복될 때까지 다리 역할을 해주는 치료입니다.
- 환자가 이 치료를 받는 동안은 의료진이 혈압·전해질·체액 균형을 철저히 관리합니다.
- 회복 가능성이 있는 경우,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신장이 다시 기능을 회복할 수도 있습니다.
- 하지만 일부 환자는 신장이 회복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혈액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8. 결론
지속적 신대체요법(CRRT)은 급성 신부전이나 중환자에서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치료법입니다.
일반 혈액투석보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지만, 혈압이 불안정한 환자나 중증 환자에게 안전하게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.
즉, CRRT는 단순한 ‘투석 치료’가 아니라, 중환자의 몸 상태를 지탱해주는 생명 유지 치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.
▼궁금한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이쪽으로 문의주세요▼
민주환님의 오픈프로필
open.kakao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