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장기요양등급이란?
장기요양등급은 고령이나 노인성 질환(치매, 중풍 등)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필요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행된 제도입니다.
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며, 일정 요건을 갖춘 자에게 '장기요양등급(1~5등급 또는 인지지원등급)' 을 부여하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.
2. 장기요양등급의 분류 기준
장기요양등급은 다음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합니다:
- 신체기능 장애 정도
- 인지기능 저하 여부
- 치매 유무
- 일상생활 수행능력
- 간호 및 보호 필요성
평가는 전문 심사위원들이 방문조사와 의사소견서를 바탕으로 진행하며, 총점(100점 만점)에 따라 등급이 부여됩니다.
3. 장기요양등급별 상세 내용
🔵 1등급 – 전면적인 도움 필요
- 대상자 특성: 거의 모든 일상생활을 스스로 수행할 수 없음. 완전한 전적인 도움이 필요.
- 장기요양인정 점수: 95점 이상
- 신체 상태:
- 스스로 식사, 배변, 목욕, 옷 갈아입기 등이 불가능함
- 보행도 어렵거나 불가능
- 인지 상태: 치매가 있는 경우도 많음
- 서비스 예시:
- 방문요양(요양보호사 파견), 방문간호
- 주·야간보호센터 이용
- 복지용구(휠체어, 침대 등) 지원
- 지원금액(2025년 기준): 월 약 170만 원 내외(이용자 본인부담 15%)
🔵 2등급 – 거의 전적인 도움이 필요
- 대상자 특성: 대부분의 일상생활에 도움 필요. 다만 일부 간단한 동작은 가능.
- 장기요양인정 점수: 75점 이상 95점 미만
- 신체 상태:
-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이동 시 도움이 필요
- 스스로 옷을 입거나 식사하는 데 어려움
- 인지 상태:
- 치매 동반 가능성 있음
- 서비스 예시: 1등급과 유사한 서비스 제공
- 지원금액: 월 약 150만 원 내외
🔵 3등급 – 부분적인 도움 필요
- 대상자 특성: 주요 일상생활 중 몇 가지 항목에서 도움이 필요한 수준
- 장기요양인정 점수: 60점 이상 75점 미만
- 신체 상태:
- 일부 활동은 스스로 가능하나, 반복적 도움이 필요한 상태
- 인지 상태:
- 인지기능 저하가 있을 수 있으며, 치매와 관련된 문제행동이 있을 수 있음
- 서비스 예시:
- 주 3~4회 방문요양, 주간보호 병행 가능
- 일부 간병은 가족의 도움이 병행돼야 함
- 지원금액: 월 약 130만 원 내외
🔵 4등급 – 간헐적인 도움 필요
- 대상자 특성: 대부분 스스로 생활 가능하나 일정 부분 반복적인 도움 필요
- 장기요양인정 점수: 51점 이상 60점 미만
- 신체 상태:
- 보행과 식사 등은 가능하지만, 체력 저하나 반복적인 지침을 요구
- 인지 상태:
- 초기 치매, 우울증 등 동반 가능
- 서비스 예시:
- 일주일 중 몇 차례 방문요양
- 주간보호센터 주 2~3회 이용
- 지원금액: 월 약 110만 원 내외
🔵 5등급 – 경증 치매 중심 등급
- 대상자 특성: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 중, 신체 기능 저하는 심하지 않지만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해 보호가 필요한 경우
- 장기요양인정 점수: 45점 이상 + 치매 진단 필요
- 신체 상태:
- 대체로 신체활동은 가능
- 인지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오류나 문제행동이 있음
- 인지 상태: 경도에서 중등도 치매
- 서비스 예시:
- 방문요양, 인지기능 강화 프로그램
- 주간보호서비스(치매전문형 센터)
- 지원금액: 월 약 100만 원 내외
4. 인지지원등급 – 경도 치매노인 대상 (비등급자)
- 도입 배경: 1~5등급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치매로 인한 지원이 필요한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보완적 등급
- 대상: 장기요양인정 점수 45점 미만 + 경도치매 진단
- 서비스 예시:
- 월 최대 50시간 방문요양 제공
- 복지용구 일부 지원
- 지원금액: 월 약 70~80만 원 상당 서비스 이용 가능
5. 장기요양등급 신청 절차
- 신청: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
- 방문조사: 공단 직원이 신청자 집에 방문하여 신체·정신상태 조사
- 의사소견서 제출: 지정 의료기관에서 의사소견서 작성
- 등급판정위원회 심사: 자료 종합 후 등급 판정
- 결과 통보: 등급 판정 후 약 30일 내 결과 통보
6. 등급별 서비스 종류 요약
등급 서비스 예시 특징
1~2등급 | 방문요양, 간호, 주간보호, 복지용구 등 | 거의 전적인 간병 필요 |
3~4등급 | 방문요양, 주야간보호, 복지용구 | 부분적인 도움 필요 |
5등급 | 치매 관련 서비스 집중, 인지 강화 | 치매 중심 지원 |
인지지원등급 | 치매 초기, 방문요양 중심 | 경증 치매 지원 |
7. 정리
장기요양등급은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.
다음과 같이 기억하면 이해가 쉽습니다:
- 1~2등급: 전면적 간병 필요
- 3~4등급: 부분적 도움 필요
- 5등급: 치매 위주의 관리
- 인지지원등급: 치매 초기 단계의 보호
▼궁금한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이쪽으로 문의주세요▼
민주환님의 오픈프로필
open.kakao.com
반응형